본문 바로가기
아동학

Piaget 인지 발달 이론

by 꿀B안 2022. 5. 30.

 인지발달 이론은 주로 아동의 지능발달과 사고 과정에 관한 이론으로 지능의 기능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을 설명하고 있으며, 어떻게 아동이 지식을 획득하고 사용하는가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Piaget는 아동의 사고 과정은 성인의 사고 과정과 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동화와 조절을 새로운 지식에 대한 평형을 이루기 위한 기제로 제시하면서 인지 발달을 설명하였다. 유기체가 환경에 적응한다는 말은 파란 신호일 때 길을 건너는 것, 구구단을 외우는 것 등을 말한다. 즉 인간의 지적 능력은 타고난 것이되, 그것이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인지의 발달이라는 것이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피아제는 도식과 적응이라는 개념을 설정했다. 도식은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말한다. 쉽게 말해 사고의 틀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유사한 환경 안에서, 반복에 의해 변화되고 일반화된 행동의 구조 또는 조직화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5세 유아가 날아다니는 물체는 새라고 배웠다면 아동은 "날아다니는 물체는 새와 같다"는 도식을 보유하게 되는 것이다. 몇 가지의 도식은 인간이 탄생하기 이전부터 이미 가지고 있고, 적응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도식을 개발하고, 기존의 것을 변형시키면서 발전하게 된다. 적응은 환경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도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두 가지의 상호보완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바로 동화와 조절이라는 수단이다. 적응은 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말하는데 인지적으로는 도식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의 경우, 새로운 도식을 만들거나 기존의 도식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동화는 기존의 도식에 맞추어서 새로운 경험을 일반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쉽게 말해 새로운 경험을 기존에 가지고 있는 도식에 맞추어 보는 것을 의미하는데, 만약 새로운 경험이 기존의 도식에 맞는다면 유기체는 인지적으로 평형 상태가 된다. 조절은 새롭게 접하는 정보를 자신의 인지구조에 맞게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Piaget는 아동이 감각 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4단계를 거쳐 발달한다고 보았다. 각 단계에는 중요한 특징이 있는데, 모든 아동은 같은 순서대로 단계를 거치며 어떠한 단계도 뛰어넘지 않는다고 한다. 단, 인지발달 단계는 고정적이라고 보았지만 개별 아동이 각 단계에 들어서거나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연령에는 개인차가 존재함을 강조하였다. 감각 운동기는 0~2세의 시기로 , 영아는 감각과 운동 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이를 조절하는 것을 배운다. 감각 운동기 초기에는 생득적인 반사 활동을 보이나 후기가 되면 상징적 표상을 통하여 사고를 시작한다. 전조작기는 2~7세의 시기로, 유아는 언어의 발달에 따라 상징적인 기호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고 능력에서 진보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들 사고는 직관적이며 자신의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해 다른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는 자아 중심성을 보인다. 전 조작적 사고의 특징은 생명이 없는 대상에게 생명과 감정을 부여하여 모두 살아 있는 생명체라고 여기는 물활론적 사고를 한다. 정신적 현상에 물리적 속성을 부여하여 물질적 실제로 그려내는 실재론적 사고를 한다. 우연히 존재하게 된 현상에 대해 그 원인을 찾아내려는 인과적 사고(목적론적 사고)를 한다. 모든 존재하는 현상이 사람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믿는 인과적 사고(인공론적 사고)를 한다. 관련 없는 두 개의 사태가 동시에 일어났을 때 한 사태가 다른 사태의 원인이 된다고 추론하는 양상(변환적 사고)을 보인다. 구체적 조작기는 7~12세의 시기로, 아동은 양, 길이, 무게, 부피 등이 외형적으로 변화하여도 그 물질이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보존 개념을 획득하고 논리적인 조작을 통해 사물 간의 관계를 이해하게 된다. 또한, 자기 중심성을 탈피하면서 탈중심화가 이루어지고 서열화나 유목화를 할 수 있으며 분류 개념이 형성된다. 형식적 조작기는 12세 이후의 시기로 아동은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상황을 넘어서 상징적인 추론이 가능해진다. 가설을 설정하고 체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으며 이를 일반화할 수 있다.

'아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rdner 다중 지능 이론  (0) 2022.06.01
Vygotsky 사회 문화적 인지 이론  (0) 2022.06.01
학습 이론  (0) 2022.05.30
Erikson 심리사회적 이론  (0) 2022.05.30
Freud 정신 분석 이론  (0) 2022.05.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