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학

아동 발달의 성숙 이론

by 꿀B안 2022. 5. 27.

 성숙 이론에서는 인간 발달의 과정이 유전적으로 결정되어 있다고 본다. 즉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발달의 유전적 청사진이 이미 존재한다는 것이다. 아동을 내적으로 발달 가능한 존재로 보고 아동의 성장 또는 발달은 성숙 기제에 의하며 환경적 영향은 부가적이라고 본다. Rousseau는 프랑스의 철학자로서 인간을 매우 선하게 태어난 순수한 존재로 보았다. 그에게 있어 교육이란 진리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마음을 사회의 악덕과 오류에서 지켜 주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견해는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자연주의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인간 발달을 자연 상태로 표현한 것으로 강조되었다. 아동 발달과 교육에 관한 저서인 [에밀]을 통하여 자연주의 철학에 근거한 인간 발달을 규정하고 이에 따른 교육과정을 실시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자연이란 인간이 사회와 교육으로 인해 왜곡되기 이전의 경향, 즉 내적인 발달이다. 자연은 인간의 힘으로 좌우할 수 없는 원리로, 교육의 목적임과 동시에 방법 원리이다. 그는 자연의 발달 단계를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는 태어나자마자 갖는 괘/불쾌에 의한 감성적 판단 즉 감성적 존재이다. 둘째는 적합/부적합에 의한 오성 적 판단 즉 우선적 존재이다. 셋째는 이데아에 의한 이성적 판단 즉 이성적 존재이다. Rousseau는 아동에게는 성인과 다른 아동의 세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일찍부터 아동에게 지식을 주입하였던 잘못된 조기교육을 비판하여, 교육은 아동의 발달단계에 맞게 수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아동은 어떤 특별한 교육을 받아도 자연스러운 발달을 뛰어넘는 지식을 수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발달 초기의 교육은 외부로부터 강제로 주입식 교육을 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잠재력이 자연스럽게 발휘되도록 좋은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고 보았다. Rousseau의 자연주의는 자연주의 철학의 토대를 형성하고 현대 발달 이론에 생물학적 성숙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Hall의 발달론을 살펴보자. Hall은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의 개념을 인간 발달의 연구에 적용하여 인간의 모든 발달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즉, 인간의 발달의 예정된 단계를 거치며 인류가 걸어온 역사의 단계를 반복한다는 발달론을 탄생시켰다. Hall은 인류의 발전과정이 미개 사회로부터 문명사회로 발달하듯이 개인의 발달 또한 유아기로부터 청년기를 거쳐 성인이 된다고 보았으며, 인간 발달 단계를 다음의 4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첫 번째는 유아기다. 출생 후 4년까지로 유아가 기어 다니는 것은 인간 종족이 네 발을 사용하던 무렵의 동물적 단계를 반복하는 것이고, 이 시기에는 유아는 감각 발달이 우세하며, 자기 보존에 필요한 감각 운동 기술을 습득한다고 하였다. 두 번째는 아동기이다. 4~8세에 해당하며, 고기잡이와 사냥이 주요 활동이던 시대를 반영한다. 이 시기에 아동은 숨바꼭질이나 총 놀이, 활쏘기 등의 놀이를 한다. 세 번째는 전 청년기이다. 8~12세에 해당한다. 수천 년 전 미개 사회의 단조로운 삶을 반영한다. 이 시기에 아동은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의 일상적인 훈련과 연습을 한다. 네 번째는 청년기다 사춘기에서 25세로 이 시기를 '질풍노도의 시기'로 본다. 청년기가 혼란스러운 것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과도기적인 단계를 반영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즉, 아동도 아니고 성인도 아닌 모호한 위치에서 청년은 자아의식과 현실 적응 사이에서 갈등을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한 긴장과 혼란이 이 시기를 질풍노도의 시기로 만든다는 것이다. 
 Gesell의 성숙론은 Hall의 발달론을 계승하여 성숙 이론을 발전시켰다. 성숙 이론의 주요 개념으로서 성숙과 학습 준비도 등을 제시하였고,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이러한 개념을 과학적으로 입증하였다. 그는 아동이 환경보다 성숙에 의해 발달한다는 발달의 예정론을 주장하였다. 성숙의 과정은 인간의 생이 수정되는 순간부터 예정된 발달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 그는 유전자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하기 위해 일란성쌍생아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는데, 타고난 유전적 형질이 동일하면서 서로 다른 환경에서 양육된 일란성쌍생아는 인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과 환경의 요인을 설명해 주기 때문이다. 그 결과 환경이 달라도 같은 유전자를 보유한 개인들이 유사한 발달을 보임을 증명하였다. 학습 준비도란 아동에게 무엇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아동이 성숙할 때까지 기다려한다는 학습의 시기에 관한 개념이다. 아동이 준비되어 있지 않았을 때는 준비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즉, 인간의 내부에는 발달과 성숙을 위한 내적인 성장 시간표가 있어 이에 따라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인 성장을 이루며, 교육을 통해 혹은 인위적으로 발달 시기를 앞당기거나 늦추려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보았다. 

'아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ikson 심리사회적 이론  (0) 2022.05.30
Freud 정신 분석 이론  (0) 2022.05.30
발달의 개념과 원리  (0) 2022.05.27
아동학 연구의 설계 방법과 유형  (0) 2022.05.25
아동학 연구의 과학적 절차  (0) 2022.05.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