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은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해 태 내기부터 아동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영역의 발달과 관련이 있는 다양한 현상들을 체계적, 포괄적으로 연구하는 학제적인 학문이다. 아동학에서 주로 다루는 연구 주제는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발생하는 복합 다양한 현상들을 다루고 있는 점에서 전 생애 접근법에 기초한다고 볼 수 있다. 아동학의 연구영역은 신체,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발달의 모든 영역과 이들 영역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 요인들을 포함한다. 아동학은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아동 연구로부터 출발하여, 아동 발달의 여러 영역 가운데 생물학, 심리학, 교육학, 인류학, 사회학 등 인접 학문과도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여러 학문의 영역을 통합한다. 아동학의 학문적인 특성은 한마디로 다 학문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인류학, 생물학, 가정학, 인간생태학,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들을 종합하는 응용 학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특정 연구 영역과 주제로써 아동학을 설명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아동학과 관련된 학문 분야와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인류학에서 아동학과 관련하여 문화가 인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즉, 자녀 양육이나 노인 봉양과 같은 사회적 관습이 문화에 따라 얼마나 상이한가, 그 시사점은 무엇이며, 모든 문화권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발달적 측면은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생물학 관점에서는 한 개의 수정란이 어떤 과정을 통해 성숙한 인간으로 발달하고, 인간의 신체 기관은 연령이 증가하면 그 기능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연구한다. 역사학적으로는 각기 다른 시대에서 아동이나 노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오늘날의 가족은 20세기 가족과 어떻게 다른지, 주요한 역사적 사건이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가정학 관점에서는 가족과 사회적 맥락에서의 인간 발달은 어떤 양상을 나타내는지,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가족의 본질은 무엇이며, 가족관계는 개인의 발달과 사회적 적응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연구한다. 심리학에서는 개인의 정신 능력, 성격 특성, 사회적 기술 등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 각 개인의 특성들은 얼마나 안정적 또는 얼마나 변화하는지, 안정성과 변화에 따른 이유는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사회학에서는 사회가 각기 다른 연령층의 사람들에게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지, 전 생애를 통해 사회제도 내에서 개인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사회기관과 그 변화에 따라 우리는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에 관한 연구를 한다. 법학에서는 아동의 인권과 권리가 어떻게 보장받고 있는가를, 아동의 권리에는 어떠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가에 관하여 연구한다. 아동 발달학에서는 아동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신에, 언어, 인지, 사회 정서 발달의 특성은 어떤가, 개인차를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들은 무엇인지, 아동의 생물학적 발달, 사회 정서적 발달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한다. 아동학의 학문적 성격을 요약하자면 생애 발달적 관점(인간의 발달을 전 생애적으로 접근하려는 발달심리학의 새로운 관점으로서, 이러한 경향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발달심리학을 생애 발달심리학이라고 부른다), 생태학적 관점(인간 발달의 생태학에 기초하여 인간과 다양한 주변 환경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이해한다), 학제적 접근(여러 인접 학문 분야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학 연구의 설계 방법과 유형 (0) | 2022.05.25 |
---|---|
아동학 연구의 과학적 절차 (0) | 2022.05.25 |
아동학 연구의 목적 (0) | 2022.05.25 |
아동 발달 이론의 주요 쟁점들 (0) | 2022.05.25 |
'아동관'에 대한 시대별 발달 과정 (0) | 2022.05.23 |
댓글